은 경기 광주시 퇴촌면 '나눔의집'.
22일 찾은 경기 광주시 퇴촌면 '나눔의집'.
일본군위안부피해 할머니 3명이 지병 악화로 지난해 병원으로 거처를 옮기거나 세상을 뜨면서 공동생활관은 텅 빈 상태다.
[앵커] 얼마 전, 일본군위안부피해자 이옥선 할머니가 별세하며 이제 정부에 등록된 피해자 가운데 생존자는 6명뿐입니다.
피해자들은 일본 정부가 여전히 묵묵부답이라며 앞으로 들어설 새 정부는 일본이 사죄와 배상에 나서게 해달라고 호소했습니다.
건강 악화로 지난 11일 별세한 일본군위안부피해자인 이옥선 할머니의 영결식이 14일 엄수된 지 하루 뒤에 나온 결과.
역사의 진실을 드러내고 전달하는 문학의 힘, 예술의 힘을 강렬하게 보여준다.
제목 ‘컴퍼트 우먼’(Comfort Woman)은 일본군 ‘위안부’를 뜻하는 영어 표현이다.
이 소설은 어떤 점, 어떤 면에서 특별할까? ‘컴퍼트 우먼’을 쓴 소설가 노라 옥자 켈러.
17일 경기 광주시 퇴촌면 나눔의집에위안부피해자 할머니들의 흉상이 세워져 있다.
지난 16일 일본군위안부피해자인 길옥순 할머니의 별세로 여가부에 등록된 일본군위안부피해자 240명 중 생존자는 7명으로 줄었다.
일본군위안부피해자인 이옥선 할머니(부산 출생)가 경기도 광주시 퇴촌면 나눔의집에서 열린 ‘일본군위안부피해자 기림의 날’ 기념식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미국 버지니아주 애넌데일의 한 건물 앞마당에 설치된 '워싱턴 평화의 소녀상'.
" 한국인 어머니와 독일계 미국인 아버지 사이에서 태어난 미국인 노라 옥자 켈러는 1993.
재협상 주춤尹 ‘한일 현안’ 자체서 배제돼日 국제사회 통해 교묘한 왜곡 13일 오후 광주시 퇴촌면 나눔의 집에 돌아가신 일본군위안부피해자 할머니들의 흉상이 자리해 있다.
지난 11일 이옥선 할머니가 향년 98세로 별세해 이제 일본군위안부피해자 가운데.
◀앵커▶광복 80주년, 한일협정 60주년이 됐지만 일본군위안부피해자들의 바람인 '진정한 사과'와 '일본 정부의 배상'은 이뤄지지 않고 있습니다.
생존자는 이제 6명, 할머니들은 생의 마지막 대통령이 될지 모를 후보들에게 이 사안을 해결해달라고 말합니다.
여성가족부가 지난 11일 별세한 일본군위안부피해자 이옥선 할머니에게 애도의 뜻을 표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